정보보안기사가 침해 조사를 수행하는 것은 사이버 공격 사건의 원인을 파악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침해 조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됩니다.
**1. 사고 상황 확인 및 초기 대응:** 침해 가능성이 의심되는 신호나 알림을 받은 후, 가장 먼저 시스템의 안전한 상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염된 시스템 접근 제한, 사용자 계정 정보 변경 등의 조치가 필요하며, 사건 발생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기록 수집도 병행됩니다.
**2. 증거 수집 및 분석:** 침해 행위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합니다. 이에는 시스템 로그, 사용자 활동 내역, 네트워크 트래픽 분석 등이 포함되며, 악성 코드 유형 파악, 공격 경로 추적, 피해 범위 확인을 통해 침해 행위의 상세한 정보를 얻습니다.
**3. 피해 규모 정량화:** 수집된 증거들을 바탕으로 침해로 인한 데이터 손실 규모, 시스템 작동 불안정 영향 등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합니다.
**4. 보고서 작성 및 결과 공유:** 조사 과정에서 얻은 모든 정보와 결론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관계 부서나 당사자에게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사건의 원인과 침해 방식, 피해 규모 등을 명확히 파악하고 향후 보안 강화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5. 개선 및 대응 계획 수립:**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스템 취약점을 분석하고 개선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통해 미래 침해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또한, 공격 행위와 관련된 정책 및 프로세스를 업데이트하여 향후 사건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합니다.
댓글 달기